걸레성자 손정도 목사 아들 손자 김일성 고향
손정도 목사는 1910년 감리교단 중국 선교사로 파견돼 활동하다 12년 ‘가쓰라 암살음모 사건’의 주모자로 하얼빈에서 체포돼 참혹한 고문을 받았답니다. 가쓰라 다로 일본 총리가 만주를 시찰하는 기회를 이용해 암살을 기도했다는 게 일제의 주장인데, 손 목사는 증거도, 자백도 없는 상태에서 거주제한 1년형을 받고 전남 진도에 유배됐답니다.
유배를 마치고 풀려난 손 목사는 서울 동대문교회와 정동교회의 담임목사로 부임했습니다. 그는 이때 네덜란드 헤이그에 밀사를 파견했다 폐위된 채 덕수궁에 유폐된 고종과 만나게 됩니다. 고종은 새로운 밀사 파견을 계획하고, 다섯번째 아들인 의친왕의 특사행을 추진할 인물로 손 목사를 주목합니다. 손 목사는 이에 정동교회 담임목사직을 사임하고 평양으로 가게 됩니다. 이후 그의 활동은 1919년 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집니다.
상하이 임시정부를 떠난 손 목사는 ‘호조(互助) 운동’에 마지막 힘을 다했답니다. 호조 운동은 서로 도우며 자급자족하는 이상촌을 건설하는 것으로, 최종 목적은 무력투쟁을 위한 독립운동 기지 건설이었답니다. 손 목사는 안창호와 함께 ‘농민호조사’를 설립하고, 만주 액목현 일대에서 토지를 매입합니다. 하지만 100여호가 입주한 농민호조 이상촌은 일제의 방해공작과 만주 침략으로 실패합니다. 고문 후유증과 지병에 시달리던 손 목사는 1931년 2월19일 오후 12시 눈을 감습니다. 그가 그토록 바랐던 조국 독립은 그로부터 14년이 지나서야 찾아왔답니다.
손 목사의 장남 손원일은 해군 제독이 되어 ‘대한 해군의 아버지’고 불리고 있답니다. 차남 손원태는 미국 유학 후 재미교포 의사가 됐답니다. 양자처럼 돌봐주고 후원한 소년 김성주는 북한 주석인 김일성이 됐습니다.